오늘의 경제 시황 정리 & 이번 주 주요 일정
주식과 경제 공부를 겸하며, 매일 시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.
불확실성이 큰 장 속에서 어떤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지, 오늘은 '자산 이동'과 관련된 이슈를 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.
🧭 1. 안전자산으로 이동 중 – ‘머니무브’ 가속화
2024년 4월 초, **코스피 일중 변동률이 1.97%**로 집계되며 4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
이는 시장이 현재 상당한 변동성을 겪고 있다는 방증입니다.
✅ 주요 원인
- 미국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
- 미·중 갈등 재점화
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심리에도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.
💼 자산 구성 변화 (NH투자증권 분석 기준)
RP(환매조건부채권) | +50% 이상 (2.7조 → 5.5조) |
금 현물 | +102.8% |
파생상품 | -28.9% |
국내 주식 | -14.8% |
신탁 | -53.5% |
→ 전체적으로 ‘현금성 자산’이 급증, 반면 위험자산은 축소되고 있는 흐름입니다.
전문가들은 이 현상을 "머니무브"로 진단하며,
“앞으로도 변동성이 유지된다면, 보수적인 투자 성향이 더욱 강해질 것”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.
₿ 2. 위험자산 불안감 속에서도 비트코인 강세론?
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수입 관세 정책 발언 이후,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졌습니다.
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7만 달러 선이 붕괴, 알트코인도 동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
그러나 여전히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유지되고 있습니다.
낙관론의 근거
- 정부 정책과 무관한 구조로 인한 ‘대안 자산’ 매력
- 관세 정책 → 금리 인하 가능성 → 유동성 확대 → 비트코인 유입 기대
즉, 단기 하락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을 중장기 투자처로 보는 시선은 여전히 유효합니다.
📅 3. 4월 3주 차 주요 경제 일정
이번 주는 다양한 경제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어,
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이터 발표와 이슈들을 미리 체크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.
4/15(화) | 미국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 |
4/16(수) | 한국 기준금리 결정 예정 |
4/17(목) | 국내 주요 기업 실적 발표 (삼성전자 등) |
4/18(금) |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|
💡 특히 물가 지표와 기준금리 발표는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,
해당 일정 전후로는 포지션 관리에 유의하셔야겠습니다.
✍️ 마무리하며
경제 흐름을 매일 정리하며 느끼는 것은
‘뉴스는 흘러가지만, 패턴은 남는다’는 점입니다.
큰 방향성을 놓치지 않고 매일 기록을 남기며,
시장에 대한 감각과 시야를 함께 키워가고자 합니다.
같은 관심사를 가진 분들과 소통하며,
더 깊은 인사이트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.
'주식 > 일일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-04-21|오늘 꼭 봐야 할 경제뉴스 (1) | 2025.04.21 |
---|---|
2025-04-18|오늘 꼭 봐야 할 경제뉴스 (0) | 2025.04.18 |
2025-04-17|오늘 꼭 봐야 할 경제뉴스 (0) | 2025.04.17 |
2025-04-16|오늘 꼭 봐야 할 경제뉴스 (1) | 2025.04.16 |
2025-04-15|오늘 꼭 봐야 할 경제뉴스 (1) | 2025.04.15 |